RT @TeslaZoa: 내가 지금 잘못 들은건가...?
— 호 (@shawn_won) Jun 5, 2021
2021년 6월 5일 토요일
RT @TeslaZoa: 내가 지금 잘못 들은건가...? https://t.co/kLaDWgxK7s
사회에서 유통되는 언어의 성질을 살펴보면 볼수록 나는 내가 차별의 체계를 구성하는 일원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자기 양말 한 짝도 찾지 못하는 교재 속 남자를 본다. 이제 보인다. 저 남자의 모습 속에는 내 얼굴이 숨겨져 있다.
사회에서 유통되는 언어의 성질을 살펴보면 볼수록 나는 내가 차별의 체계를 구성하는 일원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 호 (@shawn_won) June 4, 2021
자기 양말 한 짝도 찾지 못하는 교재 속 남자를 본다. 이제 보인다. 저 남자의 모습 속에는 내 얼굴이 숨겨져 있다.
차별은 악당의 모습을 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차별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생각해보라. 문법 교육에 무슨 차별이 있겠는가? 교재제작자 중 누가 자신이 차별을 행하고 있다고 생각하겠는가? https://t.co/U4Rspa4kXA
차별은 악당의 모습을 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차별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생각해보라. 문법 교육에 무슨 차별이 있겠는가? 교재제작자 중 누가 자신이 차별을 행하고 있다고 생각하겠는가? https://t.co/U4Rspa4kXA
— 호 (@shawn_won) June 4, 2021
RT @avecalice: "남성 혐오의 비밀 상징인 집게 손 찾기가 요즘 유행이라고 한다. 그러나 진짜 찾아야 할 숨은 그림은 집게 손이 아니다. 우리가 정말 찾아야 할 숨은 그림은 차별하는 우리 자신의 모습이다. 자기 양말 한 짝도 찾지 못하는 교재 속 남자를 본다. 이제 보인다. 저 남자의 모습 속에는 내 얼굴이
"남성 혐오의 비밀 상징인 집게 손 찾기가 요즘 유행이라고 한다. 그러나 진짜 찾아야 할 숨은 그림은 집게 손이 아니다. 우리가 정말 찾아야 할 숨은 그림은 차별하는 우리 자신의 모습이다. 자기 양말 한 짝도 찾지 못하는 교재 속 남자를 본다. 이제 보인다. 저 남자의 모습 속에는 내 얼굴이
— Kimmy (@avecalice) June 4, 2021
RT @avecalice: "우리는 문법을 순수한 결정체로 표상하지만, 사실 문법은 우리의 질척이는 현실과 삐걱거리는 육체 속에 스며들어 있다. 우리는 문법에서 그 육체성을 떼어낼 수 없다. 역으로 문법 교육의 내용은 문법과 더불어 우리에게 어떤 사회적 행위가 체화되어 있는지, 또는 특정 대상에게 어떤 사회적 행위를
"우리는 문법을 순수한 결정체로 표상하지만, 사실 문법은 우리의 질척이는 현실과 삐걱거리는 육체 속에 스며들어 있다. 우리는 문법에서 그 육체성을 떼어낼 수 없다. 역으로 문법 교육의 내용은 문법과 더불어 우리에게 어떤 사회적 행위가 체화되어 있는지, 또는 특정 대상에게 어떤 사회적 행위를
— Kimmy (@avecalice) June 4, 2021
RT @avecalice: 이 칼럼 진짜 인상깊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교재의 문법 예문으로 시작하여 한국 가부장제가 제도화한 차별의 폐부를 찌르네. 백승주 <그녀가 갈 수 없는 곳> https://t.co/EmICV1Pd2A
이 칼럼 진짜 인상깊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교재의 문법 예문으로 시작하여 한국 가부장제가 제도화한 차별의 폐부를 찌르네.
— Kimmy (@avecalice) June 4, 2021
백승주 <그녀가 갈 수 없는 곳>https://t.co/EmICV1Pd2A
피드 구독하기:
글 (Atom)